이 글은 EBS 명의 프로그램 중 '암보다 무서운 암, 혈액암을 말하다!'편을 요약ㆍ정리한 글입니다.

 

백혈병으로 더 잘 알려진 혈액암은 혈액을 만드는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는 병입니다.

백혈병의 특별한 조기 증상이 없으며 빈혈, 피로감 같은 증상들이 많이 발견됩니다.

또한 숨이 차고, 기운이 없고, 미열이 있으면서, 자꾸 여기저기 멍이 드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분은 단순한 감기 몸살 증상으로 생각하고 병원에 갔다가 혈액 검사로 우연히 혈액암을 발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눈썹이나 머리털을 뽑았을 때 피가 나고 양치질할 때 피가 잘 납니다.

이처럼 쉽게 출혈하는 증상은 혈소판 감소가 있을 때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너무 많아지면 정상적인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이 부족해지는데 골수나 림프 안에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백혈구가 20%이상이 되면 급성 골수성 혹은 림프성 백혈병이라고 합니다.

치료받지 않으면 수개월 이내에 사망하는 급성 질환입니다.

백혈병 완치를 위해서 조혈모세포 이식을 생각하게 됩니다.

조혈모세포란 혈액을 만들어내는 전구세포로써 조혈모세포는 골수에서 만들어지는데 조혈모세포가 분화하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생산합니다.

조혈모세포가 분화하는 과정에서 분화하지 못한 미성숙 세포의 생성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생성이 줄어들면서 백혈병으로 진행됩니다.

백혈병 중에 재발률도 낮고 완치율이 높은 순한 백혈병은 조혈모세포를 이식하지 않아도 2/3정도의 환자는 완치가 되기 때문에 이식을 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악성도가 중간이거나 높은 백혈병은 재발률이나 백혈병의 사망률이 40~50%나 되어 조혈모세포 이식의 위험성보다 큽니다.

특히 급성 백혈병의 경우 진단 직후 곧바로 치료에 들어가야 합니다.

그만큼 병의 진행이 빠르고 상태도 급속히 악화됩니다.

이런 경우는 적극적으로 조혈모세포 이식까지 해서 완치를 기대해야 합니다.

 

 

조혈모세포 체취는 예전에는 전신 마취 후 골반 뼈에서 골수를 채취하는 방법을 많이 썼지만 요즘은 수혈받는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마취없이 혈액분반기를 이용하여 성분 채집술을 통해 채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우선 항암제와 전신방사선 치료를 통해 환자의 혈액 안에 있는 비정상 조혈모세포를 제거합니다.

이후 공여자에게서 채취한 정상 조혈모세포를 환자의 정맥을 통해 수혈합니다.

이식이 이루어지면 남아있던 환자의 병든 혈액 세포 수는 감소하고 새로 들어간 정상 조혈모세포가 그 자리를 대신합니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공여자의 유무에 따라 동종이식과 자가이식으로 구분되는데 동종이식의 경우 조직적합성 항원이 어느 정도 맞느냐에 따라 항원이 모두 맞는 일치 이식, 항원이 8자리 중 한 두 개만 맞지 않는 부분 일치 이식, 항원 8자리 중 절반만 맞는 절반 일치 이식으로 나뉩니다.

 

 

특히 조혈모세포 반일치 이식은 실제 임상에 도입돼서 이식을 시행한 지는 불과 수년밖에 되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일 년에 한 명 할까 말까 할 정도였는데 지금은 전체 이식의 20% 정도로 상당히 많이 하고 있으며 심지어 최근에는 조직형을 꼭 맞출 필요가 있느냐?’라고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반일치 이식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이식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완치 가능성은 대략 50% 정도입니다.

아직까지 혈액암 치료에 있어 조혈모세포 이식은 가장 효과가 좋은 치료법입니다.

 

혈액암의 또 다른 종류는 림프종입니다.

림프계는 혈관처럼 온 몸에 퍼져 있으면서 외부에서 침입한 세균과 싸워 우리 몸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림프구는 크게 B림프구, T림프구, NK세포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골수 내 조혈모세포가 분화하여 만들어집니다.

B림프구는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항체를 생산하고, T림프구는 항원을 인식하여 우리 몸을 방어하고, NK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직접 공격합니다.

이 때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림프구 자체 분열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발생하는 것이 림프계 암입니다.

호지킨 림프종은 주로 목, 얼굴 주위에 주로 발생하는 반면, 비호지킨 림프종은 소화기관, 뇌 폐등의 조직을 포함하여 전신의 림프절에서 발생합니다.

다른 혈액암과 달리 발병이 주로 종양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백혈병이나 혈액암의 경우는 우리 몸의 혈액 내에 돌연변이 세포가 돌아다니지만, 림프종의 주된 경우에 림프절이 커지면서 림프절 종대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보니 몸에서 뭔가 만져져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합니다.

림프종은 생겨나는 부위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을 동반합니다.

림프절을 따라 몸 어디에라도 다시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림프종의 치료는 까다롭고 어렵습니다.

 

혈액암의 치료 성적은 해가 갈수록 좋아지고 있습니다.

통상 완치로 보는 5년 이상까지의 생존률을 보면 10여년 사이에 악성 림프종은 약 25% 가량, 백혈병의 경우에는 무려 두 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혈액암은 치료가 어렵긴 하지만 완치되면 발병 이전의 모습과 가장 가깝게 살아갈 수 있는 질병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치료 후 빨리 일상생활로 돌아가서 생활하는 것이 정신적으로 도움이 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어려운 병이지만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항암제나 이식 같은 치료를 할 경우에 절반 정도의 환자는 완전히 완치해서 평생 재발의 가능성 없이 원래 생활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빠른 속도로 신약, 표적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치료법에 불응하더라도 상당수의 환자는 신약, 표적 치료제로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쩌면 암보다 더 무서웠던 암이지만 완치의 희망을 놓지 않는다면 방법은 있는 병입니다.

 

 

이번 편은 혈액암 관련 사례를 많이 소개하고 있으니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신 분은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Recent posts